728x90
zebra print driver를 설치하여 usb로 연결 후 라벨 출력 하다가
문제가 생겨서 (추측 : 드라이버가 연결된 프린터를 잡지 못함 serial port로 다이렉트로 연결하여
출력 되도록 수정 해야 했다.
출력을 위해선 zpl 로 text 출력 위치, 바코드 종류 , 크기 등등 작성해서 읽혀주기만 하면 된다.
(serial port 연결하여 zpl Write 부분은 c#으로 개발했다)
본격적으로 zpl 기본 문법에 대해 적어보면
^XA | 시작을 나타냄 (무조건 문법 첫 부분에 넣기) |
^XZ | 끝을 나타냄 (무조건 문법 마지막 부분에 넣기) |
^XA (출력 될 내용) ^XZ |
출력될 내용 문법
^FOx축,y축 | 필드 시작을 나타냄 ( x축 위치 값, y축 위치값 입력) 예) ^FO1, 1 |
^FD(Text) | 인쇄할 데이터 예) ^FD사과 -> '사과' 가 출력 |
^FS | 필드 끝을 나타냄 |
^CI | 인코딩 예) ^CI26 26은 UTF-8 (한글 출력 시 사용) |
폰트 관련
^A(폰트번호 폰트종류, 폰트크기, 폰트 폭) | 예) ^A0N, 10, 5 ^A1N : 폰트 번호는 0 (기본값이 0) 폰트 종류는 N (기본값 N) -> N은 normal 의미 10 : 폰트 크기 10 (Height) 5 : 폰트 너비 (Width) * 폰트 번호는 0번째 폰트를 쓰겠다는 뜻 한글 사용할 경우 한글 폰트를 별도로 출력할 프린터 기기에 저장 해 주어야 함 아래 링크 참고 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blogId=data114_com&logNo=222651116964&parentCategoryNo=&categoryNo=12&viewDate=&isShowPopularPosts=true&from=search 만약 한글 폰트를 저장하고 나서 폰트 번호를 1번째 폰트로 사용하도록 변경해야 함 ( ^A0N, 10, 5 -> ^A1N, 10, 5 ) |
바코드 관련
1d 바코드 | ^BYx축,y 축 | 예) ^BY1, 5 x축 위치 1, y축 위치 5에서 1d 바코드 생성 |
2d 바코드 | ^BQN, x축, y축 | 예) ^BQN, 1, 5 x축 위치 1, y축 위치 5에서 2d 바코드 생성 |
위 내용을 조합 한 문법 예시
^XA
^FO1, 5^CI26^A0N, 100, 100^FD"APPLE"^FS
^FO1, 70^CI26^A0N, 100, 100^FDapple^FS
^FO10,400^BY5, 10^BCN, 100, N, N, N^FDapple^FS
^FO10,500^BQN,5, 10^FDapple^FS
^XZ
아래 사이트에서 미리보기를 할 수 있다.
https://labelary.com/viewer.html
728x90
반응형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토콜 기본 포트번호] 자주사용하는 프로토콜 기본 포트번호 목록 (0) | 2024.03.07 |
---|---|
[운영체제별 기본명령어] [Windows / Unix,Linux] 기본 명령어 (0) | 2024.03.06 |
[Windows] 파일탐색기에서 엑셀파일만 찾기 (확장자로 파일찾기) (0) | 2024.02.23 |
[Mac] 유용한 단축키 모음 (0) | 2024.01.29 |
[node.js] mac node.js 설치 경로 확인 (숨겨진 폴더 찾기) (0) | 2024.01.28 |